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대학장학금입학안내기숙사등록가톨릭대학교대학원입학안내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성의소식


[연구성과]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양자점 나노복합체로 10분 만에 초고속·초정밀 진단 가능성 제시

  • 조회수 531
  • 작성자 홍보팀
  • 작성일 2025.10.20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양자점 나노복합체로 10분 만에

초고속·초정밀 진단 가능성 제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박준혁 교수 연구팀

나노입자 기술로 기존보다 50만배 민감,
진단 시간은 1/100 이하 진단법 개발 -

 

사진

[사진 : 박준혁 교수, 김성지 교수]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 박준혁 교수(공동 교신저자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교실)와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김성지 교수(공동 교신저자연구팀이 단 10분 만에 감염이나 염증을 초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초고감도 · 초고속 항원 검출 기술을 개발했다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나노소재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ACS Nano(IF=15.8) 9월호에 게재되었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양자점 복합체(Quantum Dot Composite Complex, QDCC)’라는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재를 만든 것이다. ‘양자점(Quantum Dot)’은 빛을 받으면 특정 색의 빛을 내는 반도체 나노입자로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지만특정색의 광발광을 통해 아주 미세한 물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연구팀은 수십 개의 양자점을 하나의 튼튼한 나노복합체 안에 안정적으로 넣어기존보다 훨씬 강하고 오래 빛나는 입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나노복합체는 기존 동일 연구진에서 발표한 양친매성 고분자(물과 기름 성질을 모두 가진 고분자기반의 나노복합체보다 구조적으로 단단하고 빛의 신호도 더 안정적이다이는 층상 자기 조립(Layer-by-layer self-assembly)’이라는 독창적 방식을 적용해외부 물질로 인해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형광 소광)을 최소화했기 때문이다이 기술을 통해 연구팀은 나노입자의 표면 화학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며생체분자(비오틴스트렙타아비딘 등)를 표면에 도입하고 이들과의 상호 결합력을 극대화시켰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양자점 나노복합체를 ‘C-반응 단백질(CRP)’ 검출에 활용했다. CRP는 우리 몸이 염증 반응을 일으킬 때 급격히 증가하는 단백질로감염 여부나 질병의 중증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기존의 대표적인 진단법인 ELISA(효소결합면역검출법)은 대부분 정확하지만시료 준비와 반응 시간이 길어 4~24시간이 걸린다.

 

  반면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10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기존 대비 50만 배 이상 민감하게 미량의 항원도 탐지할 수 있다이는 소량의 바이러스나 염증 단백질이 존재해도 탐지할 수 있다는 의미로감염병 조기진단응급의료현장진단(Point-of-Care Testing) 등에 큰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이번 기술은 단순히 혈액 검사용 진단에만 그치지 않는다연구팀은 면역염색화학법(조직이나 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을 염색해 관찰하는 기술)과 같은 영상의학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이 방식이 도입되면기존 현미경 진단보다 더 적은 양의 표적 생분자들을 빠르고 또렷하게 정밀하게 표지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기술은 단백질바이러스세포 등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바이오센서 분야와도 연계가 가능하다특히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되는 상황에서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진단 장비로의 응용 가능성도 높다.

 

  박준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반도체 나노입자 기반의 안정적인 나노복합체 합성법과이를 이용한 초고속 · 초고감도 진단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항원 및 검출 환경에 대한 폭넓은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검출법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의과학과 나노소재 기술의 융합 연구로의생명 지식과 나노공학적 설계를 접목하여 진단의 속도와 민감도라는 두 가지 난제를 동시에 해결한 사례로 평가되고 있으며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합성생물학사업단을 중심으로 세종과학펠로우십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선도연구센터(SRC),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의 지원을 받았다

 

모식도

[그림 설명 안정한 양자점 나노복합체 합성법을 통한 초고속 초정밀 타겟 항원 검출 확인 모식도]

 

QUICK
MENU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