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성의교정

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가톨릭대학교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성의교정

main main main

메인비주얼 이미지 메인비주얼 이미지 메인비주얼 이미지

1

공지사항

VIEW MORE

의과대학

가톨릭정신을 바탕으로 전인적 의료와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합니다.

의과대학 바로가기

간호대학

최첨단 교육환경에서 세계로, 미래로 나아갑니다.

간호대학 바로가기

대관신청

성의교정의 교내 시설을 간편하게 신청하고 이용해보세요.

대관신청 바로가기

증명서 발급

증명서를 쉽고 빠르게, 어디서나 발급받아보세요.

증명서 발급 바로가기

Research & News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나프로임신센터' 현판식 개최

대학소식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나프로임신센터' 현판식 개최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나프로임신센터' 현판식 개최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은 4일, '나프로임신센터 NaPro FertilityCare Center)' 현판식을 개최하고 난임 부부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는 전문적인 난임 치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현판식에는 이태규 병원장과 나프로임신센터장인 산부인과 김연희 교수를 비롯한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하여 센터의 성공적인 운영을 기원했다. 현판식을 축하하기 위해 ㈜한국젬스는 후원물품 손소독제 1,000개를 기부하였다. 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인 나프로(NaPro) 임신법 나프로임신센터는 자연적(Natural)이고 가임(Procreative)적인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인 나프로 임신법을 핵심으로 한다. 이는 가톨릭교회의 가르침과 윤리에 위배되는 인공보조생식술이 아닌, 여성의 가임 주기의 회복을 통해 자연적인 임신을 유도하는 친환경적인 난임 치료법이다. 나프로임신센터장 산부인과 김연희 교수는 "나프로 임신법은 단순히 임신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난임의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 치료를 제공하고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을 회복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며, "난임 부부가 건강한 가정을 이루도록 돕는 것이 센터의 목표"라고 밝혔다. 맞춤형 여성 건강 관리 및 난임 치료 나프로 임신센터는 ▲개인의 상담에 따른 맞춤 치료 ▲난임 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 ▲난임뿐만 아니라 반복 유산, 자궁내막증,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생리전증후군(PMS) 등 여성 질환 치료에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치료 과정은 초진 후 부부가 함께 입문 교육을 받은 후, 주기적인 개별 교육 및 나프로 난임 검사를 시행한다. 이후 2~3개월 뒤부터 전문적인 진단에 따라 내·외과적인 맞춤 치료가 진행된다. 이태규 병원장은 "가톨릭 의료기관으로서 생명 존중의 윤리를 바탕으로 난임 부부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나프로 임신센터를 개소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의정부성모병원은 경기 북부 지역의 난임 극복과 여성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2025.11.25

$성빈센트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 10회 연속 1등급 획득

대학소식

성빈센트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 10회 연속 1등급 획득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 10회 연속 1등급 획득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발표한 ‘2024년(10차)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적정성 평가’에서 10회 연속 최우수 1등급 의료기관으로 선정됐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효과적인 외래 진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질병의 악화와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에 심평원은 환자 관리의 질 향상을 목표로 2014년부터 매년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이번 평가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만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진료한 전국 6,466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주요 평가 항목은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방문 환자비율 ▲흡입기관지확장제 처방 환자비율 등이다. 평가 결과, 성빈센트병원은 종합점수 93.3점을 기록해 전체 평균(70.2점)과 상급종합병원 평균(90.3점)을 모두 크게 웃도는 성과를 거두며 1등급을 획득했다. 특히, 성빈센트병원은 2014년 첫 평가 이후 10회 연속 최고 등급인 1등급을 유지하며,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 분야에서의 꾸준한 질 관리와 높은 전문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한편, 성빈센트병원은 만성폐쇄성폐질환과 더불어 폐암 적정성평가, 폐렴 적정성평가에서도 모두 1등급을 획득하며, ‘폐 질환 치료 잘하는 의료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5.11.04

$서울성모병원-고려대학교 공동 연구팀,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발

대학소식

서울성모병원-고려대학교 공동 연구팀,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발

서울성모병원-고려대학교 공동 연구팀,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발 - 첨단 재료공학과 인공지능 결합, ‘타액 기반’ 비침습적 두경부암 조기 진단 - - 특이도 100%·민감도 96%·정확도 98%… 환자 생존율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 두경부암 15개 바이오마커, 병리 메커니즘 이해에도 단서 제시 - [사진 : 박준욱 교수, 정호상 교수, 서효정 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준욱 교수와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정호상 교수 공동 연구팀 (제1저자 한국재료연구원 바이오·헬스재료연구본부 서효정 연구원)이 타액 검사만으로 두경부암을 98% 정확도로 진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을 개발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고려대학교, 한국재료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AI 알고리즘과 첨단 재료공학이 결합한 비침습적 진단법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첫 사례다. 두경부암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암연구소 (IARC) 2020년 통계 기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흔한 암이다. 연간 약 89만 명이 발병하고 45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암 진단의 약 4.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조기 발견 시 5년 생존율이 80% 이상으로 높지만, 진행암인 3기 이후에는 40% 이하로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초기 증상이 미미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내시경 검사나 조직 생검으로 종양 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현재 액체 생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혈액 속에 존재하는 종양 DNA의 양이 매우 적어 다른 암보다 진단 정확도가 낮은 한계가 있어왔다. 타액을 활용한 비침습적 진단 기술 개발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연구팀은 연필심에 쓰이는 흑연의 구성 물질로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및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그래핀을 활용하여 진단 기판을 제작했다. 그래핀 소재는 자체적으로 방향족 분자를 안정적으로 흡착하는 특성이 있을 뿐 아니라, 그래핀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주름과 결함 부위를 활용하여 성장시킨 금 나노코랄(산호 형태의 금 나노구조) 모델로 신호 증폭을 통해 초고감도 정밀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 센서 기판은 시간 의존적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2시간 동안 안정적인 신호를 유지했으며, 물로 세척 후에도 평균 67% 수준의 신호를 유지하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타액 속 70개 대사물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 중 39개 대사물질로 참조 데이터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분석을 거쳤다. 그 결과, 두경부암 환자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티오시아네이트,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타우린, 푸코스 등 15개의 바이오마커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이오마커들은 두경부암의 특징적인 대사산물로서, 향후 병리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도 상당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티오시아네이트는 암으로 인한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 푸트레신과 스페르민은 빠른 암세포 증식, 메티오닌은 세포 성장과 DNA 합성에 필요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트립토판, 발린, 류신 등의 아미노산은 암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활발한 분해 또는 소비로 감소했다. 두경부암 환자 25명과 건강한 대조군 25명의 타액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나노코랄 그래핀 센서와 결합한 인공지능 모델은 특이도 100%, 민감도 96%, 정확도 98%라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판별 성능 지표인 곡선하면적(AUC) 역시 0.999를 기록하여, 환자와 정상인을 거의 완벽하게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회 반복 검증 실험에서도 평균 정확도 93% 이상을 유지해, 분석 모델의 재현성과 신뢰성 역시 충분히 입증되었다. 박준욱 교수는 "환자에게 부담이 크고 종양 위치 확인이 어려웠던 기존 진단법 대비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타액 검사방법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여 두경부암의 조기 진단과 환자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15개의 대사 바이오마커를 발견한 것은 두경부암의 병리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의미가 있는 만큼, 향후 대규모 다기관 임상 검증을 통해 실제 진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호상 교수는 "그래핀의 분자 흡착 특성과 금 나노구조의 플라즈모닉 효과를 결합한 센서 기판은 타액 내 미량의 대사물질을 초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으로 휘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포착하여 장시간 신호를 유지하는 성능은 기존 센서 대비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진단 플랫폼은 복잡한 생체 신호에서 개별 바이오마커의 기여도를 정량화할 수 있어, 향후 다른 질환의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첨단 재료 기술과 AI 보조 스펙트럼 분석을 통합하여 비침습적 질병 진단과 바이오마커 발굴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입증한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의학, 공학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다학제 저널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Advanced Science, IF=14.1)에 게재됐다. [비침습적 두경부암 진단 플랫폼 개요도]

2025.11.04

Social Contribution

CUK SNS

성심교정

혁신의 주인공으로 스스로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지닌 DESIGNer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가톨릭대학교는 늘 함께하고 지원과 응원을 아끼지 않을것입니다.
Design yourself as a Professional DESIGNer!

성신교정

신학과 철학 연구를 통해 시대적 표징을 가톨릭 정신으로 조명하여 현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더불어 교회와 사회의 공동선에 기여하는 균형 잡힌 인재를 양성합니다.
"Spirit of Unity and Harmony"
QUICK
MENU
맨위로가기